본문 바로가기

Problem/ETC

[백준알고리즘] 10799번 쇠막대기

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0799


시간 제한메모리 제한제출정답맞은 사람정답 비율
1 초256 MB100806073428060.813%

문제

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.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,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.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.

  •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다. -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,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는다.
  •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.
  • 레이저는 어떤 쇠막대기의 양 끝점과도 겹치지 않는다. 

아래 그림은 위 조건을 만족하는 예를 보여준다. 수평으로 그려진 굵은 실선은 쇠막대기이고, 점은 레이저의 위치, 수직으로 그려진 점선 화살표는 레이저의 발사 방향이다.

이러한 레이저와 쇠막대기의 배치는 다음과 같이 괄호를 이용하여 왼쪽부터 순서대로 표현할 수 있다.

  1. 레이저는 여는 괄호와 닫는 괄호의 인접한 쌍 ‘( ) ’ 으로 표현된다. 또한, 모든 ‘( ) ’는 반드시 레이저를 표현한다.
  2. 쇠막대기의 왼쪽 끝은 여는 괄호 ‘ ( ’ 로, 오른쪽 끝은 닫힌 괄호 ‘) ’ 로 표현된다. 

위 예의 괄호 표현은 그림 위에 주어져 있다.

쇠막대기는 레이저에 의해 몇 개의 조각으로 잘려지는데, 위 예에서 가장 위에 있는 두 개의 쇠막대기는 각각 3개와 2개의 조각으로 잘려지고, 이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 쇠막대기들은 총 17개의 조각으로 잘려진다. 

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주어졌을 때, 잘려진 쇠막대기 조각의 총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한 줄에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를 나타내는 괄호 표현이 공백없이 주어진다. 괄호 문자의 개수는 최대 100,000이다. 

출력

잘려진 조각의 총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.

예제 입력 1 

()(((()())(())()))(())

예제 출력 1 

17

예제 입력 2 

(((()(()()))(())()))(()())

예제 출력 2 

24


for문을 (int i = 0; i < strlen(s); i++) 로 했더니 시간초과가 났었다.
이걸 바꿔서 된 다음에도 정확하게 이유를 몰랐었다. 진짜 똥멍청이.............

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#define _CRT_SECURE_NO_WARNINGS
#include<iostream>
#include<cstring>
#include<stack>
using namespace std;
 
stack<int> st;
 
int main()
{
    char s[100001];
    int flag = 0;
    int cnt = 0;
 
    scanf("%s", s);
    int length = strlen(s);
    for (int i = 0; i < length; i++)
    {
        if (s[i] == '('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st.push(s[i]);
            flag = 1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// 레이저
        else if (s[i] == ')' && flag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st.pop();
            cnt += st.size();
            flag = !flag;
        }
        // 막대
        else if (s[i] == ')' && !flag)
        {
            st.pop();
            cnt += 1;
        }
    }
    printf("%d\n", cnt);
    return 0;
}
cs